shp파일이란?
: shp(=shape) 형식은 ArcGIS를 개발한 ESRI [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] 에서 개발한 파일형식으로, 도형과 그 위치, 속성을 다루는 파일로 구성됨
- 공간 피처(점, 선, 면), 위치, 속성(데이터), 좌표를 저장하는 ESRI 벡터 데이터 저장파일
- 총 3 ~ 5개의 파일 셋으로 저장
- 하나의 피처 클래스를 포함함
shp파일 예시
- .shp(쉐이프 포맷) : 도형파일(벡터형식)
- .shx(쉐이프 인덱스 포맷) : 도형의 위치, 방향정보
- .dbf(속성포맷) : 각 도형의 속성정보, dBase 포맷
- .sbn, .sbx : 도형의 공간 인덱스(공간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부가적인 파일
- .prj : 좌표정보
- shp.xml - 공간 메타데이터 xml 포맷
shp파일 최소구성 및 주의점
- shp파일이 웹상에서 유효한 형태는 json,xml
JSON (Java Script Object Notation) : 자바스크립트 객체 문법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문자 기반의 포맷
geoJSON : 위치정보를 갖는 json 파일
- 좌표, 위치, 포인트, 라인, 폴리곤 등 속성
topoJSON : geojson보다 효율적인 형태(정수좌표 사용)
- QGIS는 shp만 드래그해도 되지만, shx,dbf 파일은 위치,속성정보로 필요함
※ shp파일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에서 열리는 최소 구성은 3개 일때
: .shp / .dbf / .shx
: ArcGIS 등 GIS프로그램 사용시 좌표계가 정의되지 않음
※ shp파일이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에서 열리는 최소 구성이 4개 일때
: .shp / .dbf / .shx / .prj
: ArcGis 등 GIS프로그램 사용시 자동으로 좌표계를 인식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