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쉐이더(Shader)

: 색조,채도,밝기 대비를 주관하고 이를 조작하여 다양한 조작가능

 

- Rendering Pipeline

: 3D 그래픽을 렌더링할 때 WebGL이 실행하는 단계

 

- vertex shader(버텍스 쉐이더,정점 쉐이더)

: 버텍스 정보에 수학적인 연산을 해 물체에 효과를 주는 쉐이더

: 버텍스에 입힐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(좌표,색상,텍스처,조명 등)을 데이터로 가져와 변환

 

- fragment shader(프래그먼트 쉐이더)

: rasterization shader는 각 픽셀을 렌더링하여 최종 픽셀 출력 색상을 결정
: 색을 입히는 것

 

- attribute(애트리뷰트)

: 버텍스 쉐이더와 WebGL간의 버텍스 데이터 연결/버텍스 셰이더에서 사용하는 입력변수

: 버텍스 좌표/생상,텍스처 좌표,법선 벡터(vertex normal)처리

 

- matrix

: (행렬) JS에서 표현될때는 그냥 1차원 배열이지만 적절한 라이브러리 행렬로 다루어짐

: vertex들이 위치할 좌표를 지정할 때 사용/shader의 이동,회전,깊이 표현 시 사용

 

- DEM(Digital Elevation Model)

: 지형표면의 높이를 일정 간격으로 측정하여 만든 수치표고모형

 

- POI(Point Of Interest)

: 관심지점, 관심지역정보

 

- vertext(버텍스)

: 3D객체의 꼭지점 혹은 정점/하나의 정점은 3차원 좌표계로 구성(x,y,z)

: 실수형(float Type)/위치 좌표,색상,법선,텍스처 좌표에 연관

 

- fragment(프래그먼트)

: WebGL에서 픽셀을 프래그먼트로 표현/버텍스로 구성된 삼각형에 색상/텍스쳐 할당

 

- index(인덱스)

: 버텍스의 접근자/정수형(Integer Type)

 

- geometry(기하)

: 버텍스로 구성하는 도형/3개의 버텍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삼각형으로 구성

수토리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