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esium 좌표계산
·
개발 - 언어/2D & 3D
//각도를 알때 특정 지점의 좌표는 //(cos(라디안),sin(라디안))이다. 이때 라디안은 실제각에 파이/180을 곱한다. //star_height.html은 위 공식을 소스로 적용하였고 //위 공식을 기반으로 3차 행렬에서도 행렬곱을 사용하여 특정 지점의 좌표를 구하는 공식이 있다. //예를들어 아래와 같은 X,Y축 좌표를 담는 3X1 행렬이 있다. //[X] //[Y] //[1] //이때 0(세타)각만큼 회전한 X`,Y` 좌표를 구하고싶다면 아래와 같은 행렬을 곱한다 //[Cos0, -Sin0, 0] //[Sin0, Cos0, 0] //[a , b , 1] //그럼 결과적으로 //[X`] //[Y`] //[1] //0(세타)각만큼 회전한 x`,y`좌표를 포함한 행렬이 나온다. //이를 아래와같이 ..
JavaScript 필요 정리 - 03
·
개발 - 언어/JavaScript
사용방법에 따른 함수분류 일반 함수 :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 함수 중첩 함수 : 함수 안에 함수가 있는경우 / 이때 함수안에 있는 함수를 중첩함수라고 함 ※ 중첩 함수의 용도 : 내부 전용 함수 : 이름이 없는 이벤트 리스너로서의 활용 : 중복 코드 또는 그룹화 콜백 함수 : 함수 실행결과 값을 리턴이 아닌 "매개변수"로 넘어온 함수를 호출해서 넘겨주는 방식을 콜백 : 이때 매개변수로 넘어온 함수를 콜백함수라고 부름 ※ 실무에서의 콜백함수 용도 : '이벤트리스너'로써의 활용 : 타이머 실행 함수 -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jQuery/Ajax의 결과물이 필요할때 클로저 함수 : 일반적인 함수의 경우 호출의 의해 함수내부의 실행구문을 모두 실행하게 되면 함수내부에서 만든 지역변수가 자동으로 사라지지..
JavaScript/jQuery .ready() 와 load() 차이
·
개발 - 언어/JavaScript
"웹 브라우저의 HTML문서 렌더링 과정" 불러오기(Loading) 불러오기는 HTTP 모듈 또는 파일시스템으로 전달 받은 리소스 스트림(Resource Stream)을 읽는 과정으로 로더(Loader)가 이 역할을 맡고 있다. 로더는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, 이미 데이터를 읽었는지도 확인하고, 팝업창을 열지 말지, 또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지를 결정한다. 파싱(Parsing) 파싱은 DOM(Document Object Model) 트리를 만드는 과정이다. 웹 엔진이 가지고 있는 HTML/XML 파서가 문서를 파싱해서 DOM Tree를 만든다. DOM Tree : 내용을 저장하는 트리로 javascript에서 접근하는 DOM객체를 쓸 때 이용됨. 렌더링 트리 만들기(Rendering Tree) 렌더링..
JavaScript 에서 .min.js 와 .js의 차이
·
개발 - 언어/JavaScript
둘 다 동일한 기능을 지원함 min파일은 minify(축소하다)의 줄임말로써, "공백과 줄 바꿈을 제거하여 용량을 줄인파일 .js 파일은 가독성(들여쓰기, 줄바꿈 등)을 위해 개발할 때 사용하고, 이를 압축하여 min.js파일을 만들어 실제 서비스에 사용한다. min.js파일을 사용해야 용량+전송량을 줄일 수 있다. ※ 참조 - https://code.i-harness.com/ko/q/350650
JavaScript 필요 정리 - 02
·
개발 - 언어/JavaScript
변수 선언 변수를 선언함에 있어서 다른 언어와는 다른 점이 있다. 수정이 가능한 변수인지, 아니면 수정이 불가능한 변수인지 명시해야 한다. var : 수정이 가능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. const : 변수의 값이 변경될 일이 없을 때 사용한다. (상수) let : const가 아닌, 값이 변경되는 변수에 사용한다. ※ 첫 단어를 제외한 나머지 단어의 첫 문자를 대문자로 표기 자바스크립트의 boolean은 true, false가 있다. null도 사용할 수 있다. 변수 선언 후 값을 대입하지 않으면, 출력시 undefined라고 표기된다. 자료형 변환 typeof 변수이름 을 통해서 현재 변수에 담긴 값이 어떤 자료형으로 저장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. parseInt("String"); 을 통해서 st..
WebGL 관련 용어 해설 및 정리 - 02
·
개발 - 정보/3D & WebGL
- 3D Tiles Data Format · b3dm : 지형 및 표면, 건물 내부 및 외부, 표면 등 · i3dm : 3D 모델 인스턴스 · pnts : 엄청나게 많은 수의 점(point) · cmpt : 다른형식의 타일을 하나로 연결(합성) ※ 타일 구조(타일셋)와 컨텐츠(타일) - 드로잉 버퍼 · 색상 버퍼 / 심도 버퍼 / 스텐실 버퍼 - 정점 버퍼 객체(VBO) : 정점의 특정 속성(attribute)에 대한 데이터를 보관함 - 파이프라인(Pipe Line) : (웹 애플리케이션 HTML + 자바스크립트 + 쉐이더 소스코드 + 3차원 모델링데이터) → WebGL(자바스크립트 API) → 버텍스 쉐이더 → 프리미티브 어셈블리 → 레스터화 → 프래그먼트 쉐이더 → 가위테스트 → 멀티샘플 프래그먼트 ..
수토리지
Code_Sootorage